최만리의 반대에 대하여 정인지는 훈민정음 서문에서 창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.
① 한자로는 의사소통이 어렵다.
② 한문으로 된 서적을 배우기 어렵다.
③ 죄인 다스리기가 어렵다.
④ 이두 사용으로는 충분한 의사 표시가 불가능하다.
- 훈민정음연구, p 39 -
하지만 세종은 이러한 주장에 '편민성'을 더하였다.
"이두를 만들어 낸 본의는 편리하게 써서 백성들이 편안하게 하자는 게 아닌가 ? 편리하게 써서 백성들을 편안하게 한다는 점에 있어서라면 지금의 언문 또한 백성을 편안하게 하자는 것이 아니겠느냐 ? "
- p 42 -
'연구분석 > 한글조형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창제 기록 [보한재집] (0) | 2017.01.24 |
---|---|
최만리가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이유 (0) | 2017.01.23 |
문자학과 聖人之道 (0) | 2017.01.23 |
중국 명나라 때의 "홍무정운" (0) | 2017.01.17 |
聲韻學과 聖人之道 (0) | 2017.01.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