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분석/한강유역홍수

안성천 자료

청초골 2015. 4. 2. 16:39

안성천

동의어 안성남천(安城南川) 다른 표기 언어 安城川

유형 지명
별칭 안성남천(安城南川)
분야 지리/자연지리

경기도 안성시 고삼면·보개면 일대에서 발원하여 평택시를 지나 아산만으로 흘러드는 하천.

[내용]

길이 76㎞, 유역면적 1,722㎢. 옛날에는 안성남천(安城南川)이라 하였다. 하구 근처는 우리 나라에서 조차가 가장 큰 곳 중의 하나로 대조시 평균조차 8.5m에 달한다.

유역의 기반암은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이에 관입한 화강편마암으로 반상결정편마암·흑운모편마암·각섬화강암이 대부분이다.

중요한 지류는 진위천(振威川)·입장천(笠場川)·한천(漢川)·청룡천(靑龍川)·오산천(烏山川)·도대천(道垈川)·황구지천(黃口只川) 등이다. 안성천의 본류와 지류가 합류하는 곳 근처에는 넓은 충적평야가 형성되어 있다.

이 하성퇴적평야(河成堆積平野)를 안성평야라 한다. 안성평야는 대부분 충적토로 이루어진 평야로 예로부터 토질이 비옥하여 김포평야와 함께 경기미(京畿米)의 주산지를 이루고 있다.

안성천 하구에 방조제가 들어설 때까지는 하구로부터 16.5㎞ 떨어진 평택시 팽성읍 신호리까지 조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. 이 방조제를 아산방조제라 하는데, 방조제가 완공된 뒤 많은 간석지가 간척되어 농경지가 확대되었다.

안성천 상류인 안성군 금광면과 고삼면에는1956년에 금광저수지가, 1958년에 고삼저수지가 축조되었다. 이 저수지들은 본래 농업용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낚시터로도 유명하다.

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,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.

참고문헌

  • 『지명유래집(地名由來集)』(건설부 국립지리원, 1987)
  • 『한국지지(韓國地誌) -지방편(地方篇) Ⅰ-』(건설부 국립지리원, 1984)
  • 「안성천하구(安城川河口)의 충적지형성연구(沖積地形成硏究)」(황유정, 『지리학논총』6, 1979)

'연구분석 > 한강유역홍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장암리 뻘흙  (0) 2015.04.08
빗물펌프장  (0) 2015.04.06
청미천유역 면적  (0) 2015.04.02
동강댐 건설 무산  (0) 2015.04.01
동강댐 건설 백지화  (0) 2015.04.01